2019. 5. 26. 13:05ㆍLayer7
리눅스는 windows와 같이 운영체제의 일부이다.
리눅스 재단에 따르면 퍼블릭 클라우드 워크로드의 90%, 세계 스마트폰의 82%(Android), 임베디드 기기의 62%, 슈퍼컴퓨터 시장의 99%가 리눅스로 작동한다.
리눅스는 오픈소스이다. 그래서 다양한 배포판이 생겨났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동한다.
이것은 엄청난 장점이다. 만약, 지금 쓰고 있는 리눅스 배포판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거로 바꾸면 된다.
윈도우가 i386, AMD64를 지원하고 지금 Windows On Arm(라즈베리파이에서 FULL-WINDOWS를?♥)로 겨우겨우 ARM 프로세서를 지원할 때, 리눅스는 이미 i386, AMD64, ARM을 지원했고, 더 나아가 MIPS, ppc64el(Power Systems), s390x(IBM S/390)도 지원했다.
이런 엄청나고 엄청난 리눅스의 명령어를 알아보자!
이것 외에도 sudo (잠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hmod (파일 권한), adduser (사용자 추가), passwd (비밀번호 변경), mono (C#), monodevelop (C# 편집기)와 같은 명령어가 있다.
그 다음으로, 리눅스 파일 형식에 대해 알아보자.
리눅스에는 일반 파일, 디렉토리 파일, 링크 파일, 장치 파일, 소켓 파일 등이 있다.
일반 파일 : 리눅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흔한 파일
디렉토리 파일 : 다른 파일들의 목록을 가지고 있거나 그 파일들의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들을 가지는 파일
링크 파일 : 원본 파일의 주소를 가리키는 파일
-하드 링크 : 두 파일이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하드 링크를 걸면, 둘중에 하나를 삭제해도 접근이 가능하다.
-심볼릭 링크 : 두 파일이 서로 다른것이다. 심볼릭 링크를 걸면, 메인 파일을 삭제하면 접근이 불가능하다.
장치 파일 : 장치의 드라이버에 의해서 처리되는 특수한 파일
소켓 파일 :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파일
'Layer7'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프로젝트 보고서 (0) | 2019.07.14 |
---|---|
Git 보고서 (0) | 2019.06.12 |
개인프로젝트 - Super Mario Bros. (4) | 2019.05.16 |
동적할당과 메모리구조 (0) | 2019.04.16 |
2019-04-08 과제 (정사각형 숫자 대각선 만들기) (0) | 2019.04.09 |